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2023년 8월 : 금동 용두(金銅龍頭)
분류 2023년
작성자 학예연구실 염창석
날짜 2023.07.31 (최종수정 : 2023.11.02)
조회수 299
썸네일 /thumbnail.125461.png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진전사지(陣田寺址)에서 수습된 금동 용두입니다. 부릅뜬 눈과 굵은 눈썹, 이마 가운데 힘있게 뻗은 외뿔이 묘사되었는데, 뿔은 끝이 세 갈래로 갈라졌습니다. 입 주위에는 끝이 말린 곡선의 수염이 표현되었고, 수염 양쪽에는 구멍이 있습니다. 내부는 비어있으며, 입 가운데 부분에는 구멍 뚫린 쇠고리가 부착되어있습니다.




 용은 동서양에서 상상되어온 동물로서 관련한 많은 신화와 전설이 남아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인충(鱗蟲)의 우두머리로서 머리는 낙타와 비슷하고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고 묘사되어 있습니다.( 광아(廣雅) 「익조(翼鳥))


 이와 같이 각 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춘 용은 무궁무진한 능력을 가진 동물로 신앙되었기 때문에 황제나 왕을 상징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용은 물과 깊은 관계가 있는 수신(水神)으로서 목조건물을 화마(火魔)로부터 지켜내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고, 풍수(風水), 설화, 종교 등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중요한 모티프가 되었으며,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수 많은 작품으로 묘사되었습니다.


상주 남장사 보광전 벽화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 이후에는 불가(佛家)에서 불법승(佛法僧)3()를 수호하는 역할 뿐만아니라 나라를 지키는 호국룡(護國龍)으로서 많은 설화와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되었습니다.


경주 경덕왕릉 호석에 새겨진 용, 경주 김유신묘 호석에 새겨진 용(탁본)

 

용은 12지의 일원으로서 무덤을 지키는 호석(護石뿐만 아니라 석탑 등에도 새겨졌습니다.


평창 상원사 동종의 용뉴(龍鈕)


 불교 사물(四物) 가운데 하나인 범종(梵鍾)은 그 울림으로 명부의 모든 무리를 불법(佛法)의 수호 아래 놓이게 하는데, 종의 상단에 용이 배치되는 것은 그 소리가 구리로 만든 쟁반(銅盤)을 울리는 소리와 같다는 특징이 반영된 것입니다.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의 반야용선


 반야용선(般若龍船)은 고해를 건너 피안을 향하는 구원의 배입니다. , 깨달음의 세계인 정토로 건너가기 위해 필요한 배는 불법을 수호하는 용이 이끈다고 여겨졌습니다. 정토의 인도자인 인로왕보살이 선두에서 이끌고 지장보살이 배 끝을 지키는데, 용이 배를 등에 업고 거센 파도를 헤쳐나가는 모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청동용두형 간두(국립청주박물관소장), 금동용두형 당간 수식(국립경주박물관보물), 복원된 당간의 용두형 수식(국립대구박물관)


 용두는 사찰의 영역을 표시하는 당간의 머리장식으로 활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대형으로 제작된 경우도 있으나, 석주선기념박물관의 금동용두나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청동용두 쌍에서처럼 소형으로 제작된 것들이 있는데, 입에 문 여의주 끝에 고리를 돌출시킨 형태로 당간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됩니다.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금동용두는 벌린 입에 고리를 물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교적 용구를 매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사찰에서 의식을 진행할 때 당()이나 번()을 매달았던 기물(器物)의 부속품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양 진전사지(陳田寺址)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진전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도의선사(道意禪師)가 머물며 선법(禪法)을 널리 펼쳐 염거화상(廉居和尙, ?~844)과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804~880)으로 이어지는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중심이 되는데, 오늘날 대한불교 조계종의 시원 사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석주선기념박물관은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과 도의선사탑(보물)을 발견조사 하였으며, 1974년부터 1979년까지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참고문헌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박물관 신축 개관 전시 도록.

광아(廣雅) 「익조(翼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대불교, 반야용선

*청동용두형 간두e뮤지엄에서 제공하는 공공누리 제1유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이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