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61 |
  •  페이지 2/7
석주선박사의 우리옷 나라 - 1900년~1960년대 신여성 한복

5,672

파일 인기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는 제35회 특별전 "석주선박사의 우리옷 나라' 展을 개최합니다. 故 난사 석주선박사의 유품과 1900년대 신여성의 한복과 용품을 전시해 유물 수장가로서의 업적과 한국복식에 대한 열정을 재조명하고자 마련한 자리입니다. 전시와 함께 " 한중일 왕실 의례복 착장"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3국의 권위있는 연구자들의 학술연구발표와 함께 한국의 " 왕 복식 착장시연" 행사가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학술 연구성과 뿐 아니라 실물로 재현한 귀중한 자료들을 선보이는 귀한 자리가 될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

민속복식 정기전

고고미술분야 제6회 특별전 <고려행궁 혜음원>

4,974

인기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고고·미술분야에서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9차례에 걸쳐 파주 혜음원지에서 발굴한 유물을 한자리에 모아 “고려행궁 혜음원”특별전을 개최합니다. 아울러 혜음원의 규모와 역할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술대회도 함께 개최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특별전 개막일시 : 2015년 5월 15일(금) 10:00 장 소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제2전시실 전시기간 : 2015년 5월 15일(금) ∼ 7월 31일(금) ∎ 학술대회 일시 : 2015년 5월 15일(금) 11:00∼17:00 장소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컨벤션홀 ∎ 기조강연 혜음원지 발굴 개요 박경식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관장) ∎ 발표자 및 토론자 - 고려 개경 남경간의 교통과 혜음원 발표 : 김철웅(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토론 : 정요근(덕성여자대학교) - 고려시대 자기의 유통에 관한 고찰 발표 : 강경남(국립진주박물관) 토론 : 유진현(호림박물관) - 혜음원지의 고려궁 기와 발표 : 최문환(한백문화재연구원) 토론 : 최영희(강릉원주대학교) - 혜음원지 석조건축 조형기법에 관한 고찰 발표 : 김재홍(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토론 : 배병선(부여문화재연구소) - 혜음사신창기로 본 고려시대 공역승의 조영 활동 발표 : 전영준(제주대학교) 토론 : 김형우(안양대학교)

|

고고미술 특별전

고고미술분야 제5회 특별전 <단국, 범정에게 길을 묻다>

3,305

인기글

고고미술분야 제5회 특별전 - 단국, 범정에게 길을 묻다. 전시기간 : 2014. 10. 31 ~ 2014. 12. 12 전시장소 : 석주선기념박물관 제2전시실 단국대학교의 설립자이자 독립운동가였던 범정 장형선생의 서거 50주기 특별전으로 범정선생의 유품과 교사자료를 전시하였다.

|

고고미술 특별전

특별전 제34회 <분홍 단령의 비밀>

3,615

인기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는 민속·복식 분야의 연례행사로 제34회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1998년 충청남도 천안시 유량동의 이름 모를 여인 묘에서 1500년대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여성의 맵시가 느껴지는 옷들과 함께 색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남성의 분홍색 단령도 전시합니다. 또 분홍단령을 입은 초상화도 함께 전시합니다. 개막식과 함께 학술발표회도 마련하였사오니 함께 하여 주시기를 기대합니다. 개 막 식 : 민속복식관 홀 / 2015. 5. 8(금) 오후 1시 학술발표 : 국제관 101호 / 2015. 5. 8(금) 오후 2시 ~ 오후 5시 특별전시 : 제4전시실 (기간 중 토·일 휴관) 2015. 5. 8(금) a.m. 10:00 ~ p.m. 16:00 * 학술발표 - 천안시 유량동 출토 유물 발굴 상황 : 박경식(석주선기념박물관장) - 천안시 유량동 무연고 여분묘 출토 복식 고찰 : 이명은(석주선기념박물관) - 천안시 유량동 출토 단령 염료 분석 고찰 : 채정민(석주선기념박물관), 유효선(서울대학교) - 조선시대 홍단령의 변천 : 이은주(안동대학교)

|

민속복식 정기전

고고미술분 제4회 특별전 -연민 이가원 선생 기증유물전

3,548

파일 인기글

고고미술분 제4회 특별전 -연민 이가원 선생 기증유물전 "연민 이가원 선생이 만난 선비들" 기간 : 2013. 09. 13 ~ 2013. 11. 12 장소 : 석주선기념박물관 제2전시실 연민 이가원 선생의 기증유물을 공개하는 특별전. 조선시대 커다란 족적을 남긴 선비들이 간직했던 고서와 그들의 정신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서화 등이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특히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가장본 등 희귀본을 비롯한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전시하였다. 전시와 함께 연민 이가원 선생의 생애와 학문, 그리고 기증 유물의 학술적 가치를 조명하는 강연회를 진행하였다.

|

고고미술 특별전

특별전 제33회 <보령 양반의 벼슬살이 - 유당 신태관 일가 유물>

2,928

인기글

전시기간 : 2014. 05. 09(금) ∼ 07. 08(화) 후원 : 경기도, 용인시 유당(留堂) 신태관(1839~1913)은 고려 초기 무신인 평산 신씨 신숭겸의 30세손으로 1878년 문과·병과에 합격해 출사한 뒤 성균관 대사성, 이조 참의 , 장례원, 소경, 궁내부 특진관 등의 관직을 지낸 구한말 온건개화파의 인물이다. 이번 전시는 신태관의 가문에서 선대로부터 전해오는 각종 문헌과 민속 복식류를 기증받아 전시한 것으로 특히 신태관과 아들 신정균이 관직에 부임하며 받은 교지(敎旨)모음집과 관직생활중 입었던 복식들은 당시 관리의 일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

민속복식 정기전

특별전 제32회 <영릉 참봉 한준민일가묘 출토유물전 / 英陵 參奉 韓俊敏一家墓 出土遺物展>

3,120

인기글

제 32회 특별전은 2003년 4월 2일,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심중리 청주한씨(淸州韓氏)송재 (松齋)문정공파(文貞公派)선산(先山)묘에서 출토된 한민준(韓俊敏 :1570~1638)과 부인 여흥민씨(驪興閔氏: 17세기 전반기)그리고 며느리 평양조씨(平壤趙氏:17세기 전반기)의 유물 74점입니다.한민준 20점, 여흥민씨 26점, 평양조씨 28점이 각각 수습되었습니다. 전시기간 : 2013. 05. 03 ~ 05. 31 / 후원 : (사)누비문화연구원, 한국출토복식연구회 <민속복식분야 제 32회 특별전 및 학술발표회> - 영릉 참봉 한준민일가묘 출토유물전 / 英陵 參奉 韓俊敏一家墓 出土遺物展 [개막식] 장소 : 민속복식관 홀 / 일시 : 2013년 5월 3일(금) 오전 10:30 [학술발표] 장소 : 난파음악관 콘서트홀 / 일시 : 2013년 4월 3일 오후 1:00 ~ 4:40 * 청주한씨 준민 일가묘 출토 유물고찰 : 이명은(석주선기념박물관) * 조선시대 능관(陵官) 연구 : 정해득(한신대학교) * 여흥민씨묘 출토 면화 특성 연구 : 채정민(석주선기념박물관)·유효선(서울대학교) * 누비 관련 명칭의 국어사적 고찰 : 박부자(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준민일가묘 출토 누비옷의 구성법 연구 : 유선희(이화여자대학교) [특별전시] - 장소 : 제4전시실 - 기간 : 2013년 5월 3일(금) ~ 2013년 5월 31(금) (기간 중 무휴) - 관람시간 : 오전 10:00 ~ 오후 4:30

|

민속복식 정기전

고고미술분야 제3회 특별전 - “皆蓋以瓦 高麗瓦塼, 고려 기와와 전돌 - 김대환 선생 기증유물 포함”

2,731

인기글

전시기간 : 2012. 11.01∼11.30 개교 65주년을 기념함과 동시에 그동안 박물관에서 조사, 수집해온 기와와 전돌을 재조명하는 특별전 “皆蓋以瓦 高麗瓦塼”展을 개최하였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김대환 선생께서 기증해주신 고려시대 기와와 전돌을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는 유물 400여점을 선별하여 전시하였다.

|

고고미술 특별전

특별전 제31회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德溫家의 유물 展>

2,918

인기글

전시기간 : 2012. 05. 11 ∼ 06. 30 후원 : 경기도, 용인시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세 번째 딸인 덕온공주 집안의 복식, 생활용품, 왕실의 편지글 등 조선 후기 왕실 문화가 엿보이는 225점의 유물을 선보였다. 이 유물들은 덕온공주의 손녀인 윤백영 여사가 간직해오던 것들을 석주선 박사께 기증해 우리 박물관에서 소장하게 된 것이다. 이 중 상당수의 유물은 국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있어 본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 본 전시에는 중요민속자료 제1호인 덕온공주의 자적당의를 비롯해 제211호 원삼, 제212호 색헝겊상자와 화각빗 등이 전시되었다.

|

민속복식 정기전

고고미술분야 제2회 특별전 - “天下均平 도량형 600選”

2,613

인기글

전시기간 : 2011. 11.4∼12.31 후원: 경기도, 용인시 본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도량형기들을 모아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특별전에서는 약 600여 점의 도량형을 ‘도(度), 길이를 재다’, ‘량(量), 부피를 헤아리다’, ‘형(衡), 무게를 달다’ 로 나누어 전시하였다. 도(度)부분에서는 고려척, 주척, 영조척을 비롯하여 목수들이 사용했던 곡척·연귀자·삼각자를, 량(量)부분에서는 각종 형태의 홉·되·말을, 형(衡)부분에서는 이천 설봉산성에서 발굴한 통일신라시대 저울추를 비롯한 각종 저울추와 저울을 전시하였다. 특히 중요민속자료 212호로 지정되어 있는 덕온공주의 주단척과 저울, 저울집이 처음으로 공개되어 왕실문화의 단면을 엿 볼수 있게 하였다.

|

고고미술 특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