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거 직후 안중근 의사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제공) |
 안중근 의사의 손바닥 도장 |
안중근 의사(1879~1910)는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역에서 우리나라를 침략하려던 일본의 원수(元首)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저격 사살하여 한민족의 자존심을 드높인 인물입니다.
의거 직후 안의사는 러시아 공안에 체포되어 만주 여순감옥에서 일본인들에게 재판을 받고 1910년 3월 순국하였습니다. 우리 박물관이 소장한 안중근 유묵은 안의사가 만주 여순감옥에 갇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기 직전, 일본인 전의(典醫) 오리타 도쿠(折田督)에게 써준 글씨입니다. 광복 이후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조카인 오리타 간지(典田幹二)가 1989년 2월 20일 우리 대학에 기증하였습니다. 그 후 1991년 7월 12일 보물 제569-2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기증자(가운데)와 안중근 유묵 |  동아일보 1989년 2월 22일 기사 |
안중근 유묵은 2행 16자로 안의사의 심오한 동양평화 정신과 일본의 침략 정책을 비판하고 경각심을 일깨우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欲保東洋 先改政略 時過失機 追悔何及”
동양을 보존하려면 먼저 정략을 바꾸어야 한다.
때가 지나고 기회를 놓치면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안중근 의사는 1909년 동지 11명과 조국의 독립의 기원하며 손가락을 잘라 ‘대한독립’이라고 혈서를 쓰는 단지동맹(斷指同盟)을 결의를 했습니다. 이러한 단지동맹으로 안의사의 왼쪽 손가락 약지는 한 마디가 잘려져 있습니다. 안의사는 글씨를 쓴 후 낙관 자리에 약지가 잘려있는 왼손 손바닥 도장인 장인(掌印)을 찍고 “大韓國人 安重根 書”라고 썼습니다.

| 
|
기증 관련 서신 | 기증자 가족의 감사 편지 |
안중근 유묵은 안중근의사의 독립에 대한 결연한 의지와 동양평화에 대한 염원이 담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