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2023년 1월 : 윷판과 윷말주머니
분류 2023년
작성자 학예연구실 염창석
날짜 2023.01.02 (최종수정 : 2023.11.02)
조회수 397
썸네일 /thumbnail.115675.png

2023년 새해 설날을 맞아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소개할 이달의 유물은 윷판과 윷말주머니입니다.




 설날은 설빔을 입고 차례를 지내 조상에게 인사를 하고 주변 어른들에게 세배하며 새해의 행운과 행복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설날에 모인 가족이나 이웃들은 세시 민속놀이를 즐겼는데 윷놀이가 그중 하나입니다.



정조대왕과 화빈윤씨가 사용한 윷판과 윷말주머니




 이 유물은 정조(正祖, 1752~1800) 임금과 후궁 화빈윤씨(和嬪尹氏 :1765~1824)가 사용했던 윷판과 윷말주머니입니다. 화빈윤씨는 1780(정조 4)에 정조의 두 번째 후궁으로 간택된 인물입니다. 덕온공주의 후손인 윤백영여사가 1963년에 이러한 유물의 내력에 대해 쓴 묵서가 윷판의 뒷면에 부착되어있습니다.


윷판 뒷면에 부락된 윤백영여사의 한글 메모




 윷판은 두꺼운 사각형의 한지에 기름을 먹이고 그 위에 채색한 팔보문양지를 붙여 29개의 점을 표시했습니다. 윷판은 종이로 만들었지만 가죽과 유사한 질감에 견고하고 평활한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윷말을 보관하던 윷말주머니는 왕실의 유물답게 금사(金絲)를 넣어 짠 화려한 금선단으로 만들었습니다.




윷말주머니 직물




네모난 주머니를 만들어 입구를 세 가닥으로 모아 매듭끈을 꿴 귀주머니입니다. 윷말주머니는 처음부터 윷판에 매달려있던 것이 아니라 1974년에 기증된 후 보관과 관리를 위해 부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윷판은 함께 있던 가죽끈을 한쪽 모서리 중앙에 있는 절개 부분에 끼워 말아 보관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타깝게도 사용했던 윷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윤백영여사가 유물의 내력에 관해 적은 묵서




 윷놀이는 설날인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즐기던 민속놀이입니다. 29개의 점으로 구성된 윷판(또는 말판) 위에서 네 개의 윷가락을 던지고 그 결과에 따라 네 개의 말을 움직여 모든 말이 윷판을 모두 빠져나오면 승리하는 놀이입니다. 윷의 한자어인 사()는 네 개의 나무각대기를 가지고 논다는 뜻으로 간단한 놀이방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습니다.


윷(19세기,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문헌에서는 중국의 전통놀이인 저포(樗蒲)’와 동일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하여 지칭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사희(柶戲)’라는 용어가 나타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윷놀이는 우리 민족의 우주관과 천문관을 바탕으로 음()과 양(), 천체의 28(宿등 형식의 완결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놀이의 방식이 단순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놀이입니다.




기산 김준근(箕山 金俊根)의 풍속화 중 윷놀이(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전통 놀이 '윷놀이'는 지난해 20221111, 그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